티스토리 뷰
은퇴 후 지출 관리 – 가장 많이 새는 돈 3가지 (통신비·경조사비·식비)
“퇴직 후 소득은 절반 이하로 줄었는데, 생활비는 왜 줄지 않을까?”
“특히 휴대폰 요금·모임비용·식비에서 돈이 술술 새고 있더라고요.”
은퇴자분들과 상담을 하다 보면, 줄일 수 있는데도 그대로 두는 지출 항목이 반복해서 등장합니다.
오늘은 50+세대의 생활비 중에서 가장 많이 새는 지출 TOP3 – 통신비, 경조사비, 식비를 사례와 함께 짚어보고,
작은 조정만으로 생활비를 지켜내는 루틴을 소개합니다.
1. TOP3 지출 한눈에 보기
지출 항목 | 주요 원인 | 평균 부담 (월) | 줄이는 방법 |
---|---|---|---|
통신비 | 프리미엄 요금제, 가족별 개별 결제 | 15~25만원 | 알뜰폰·가족결합·인터넷+TV 통합상품 |
경조사비 | 지인·친지 모임 증가, 기준 불명확 | 20~40만원 | 가족회의로 상한선 합의, 기록 관리 |
식비 | 외식·배달, 무계획 장보기 | 60~100만원 | 주간 식단 루틴·현금봉투 예산제 |
- 통신비는 알뜰폰·결합상품만 활용해도 매월 5~10만 원 절약이 가능합니다.
- 경조사비는 사회적 관계가 많을수록 부담이 커지는데, 가족 간 합의된 상한선만 정해도 체감 부담이 줄어듭니다.
- 식비는 ‘습관’ 문제라, 주간 식단 루틴과 현금 예산제가 가장 효과적입니다.
2. 은퇴 후 지출, 현실 사례 3선
통신비 – “요금제와 가족 회선 관리”
- 프리미엄 요금제 유지: 은퇴 후에도 부부가 월 10만 원대 요금제를 그대로 사용, 매달 22만 원 이상 지출. → 알뜰폰 전환으로 연간 100만 원 이상 절감.
- 자녀 요금까지 부담: 성인 자녀 휴대폰 요금까지 대신 내주면서 4회선 합계 40만 원 지출. → 자녀와 분리 결제 + 가족 결합상품 전환으로 월 15만 원 절약.
- 인터넷·TV·휴대폰 분리 결제: 각각 따로 내던 요금을 통합상품으로 변경 → 매월 2~3만 원 절약.
👉 작은 조정만으로도 통신비는 “눈에 보이는 고정 지출”이라 효과가 바로 체감됩니다.
경조사비 – “사회적 관계에서 흘러가는 돈”
- 모임 잦은 부부: 매달 5회 이상 경조사 참석, 월 30~40만 원 지출. → 가족회의로 ‘회당 5만 원 상한’ 설정 후 연간 200만 원 절감.
- 지방↔서울 왕복: 교통·숙박 포함 1회당 15만 원 이상 소요. → 꼭 필요한 경우만 참석, 나머지는 전화·선물로 대체.
- 모임 중복 참석: 남편·아내 각각 같은 지인의 경조사에 따로 참석 → 가족 대표 1인만 참석으로 부담 절감.
👉 경조사비는 “관계의 돈”이기에, 가족 합의와 기준만 정해도 체감 부담이 줄어듭니다.
3. 식비 – “습관이 만드는 지출”
- 4인 기준 장보기: 자녀 독립 후에도 여전히 4인 가족 기준으로 장을 봐 냉장고 폐기 증가. → 2인 식단표로 변경, 월 40만 원 절약.
- 배달·외식 과다: 은퇴 후 집밥이 줄고 배달비 포함 월 70만 원 지출. → 주 5일 집밥, 주말 외식으로 바꿔 월 30만 원 절약.
- 무계획 장보기: 계획 없이 마트 방문, 불필요한 소비 증가. → 주 1회 장보기 + 현금봉투 예산제 도입으로 지출 통제.
👉 식비는 “습관 관리”가 핵심이라, 작은 루틴만 만들어도 큰 차이를 냅니다.
3. 생활비 지출 줄이는 루틴
- 통신비 루틴
- 2년에 한 번 요금제·결합상품 점검
- 알뜰폰·가족결합 여부 확인
- 경조사비 루틴
- 매년 초 가족 간 경조사비 기준 합의
- 기록 노트 또는 가계부 앱 활용
- 식비 루틴
- 주간 식단 루틴 세우고, 장보기는 1주일 1회
- 현금봉투 예산제(식비 봉투 따로 준비)
라이프가이드의 응원
“은퇴 후 생활비는 줄일 수 있는 데서 줄여야 합니다.
작은 습관 하나가 매달 몇 십만 원의 차이를 만들고, 그 돈이 곧 여유와 안정이 됩니다.”
👉 오늘 바로 해보세요:
🔲 내 통신비 요금제, 최근 1년간 점검했나요?
🔲 경조사비 상한선, 가족끼리 합의했나요?
🔲 이번 주 식단표, 미리 작성해봤나요?
생활비는 스스로 새는 구멍을 막을 때 비로소 지켜집니다.
더보기
최종 업데이트일
2025-09-18 (Asia/Seoul)
법/제도 기준(연·월)
- 통신비: 2025년 현재 알뜰폰 및 결합상품 기준 (과기정통부 가이드라인)
- 경조사비: 법적 기준 없음, 통계청 가계지출조사(2024) 참고
- 식비: 농식품부 가계 식품비 지출 동향(2024) 기준 반영
참고/공식 링크
-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알뜰폰 정보 포털: mvnohub.kr
- 통계청 가계지출조사: kostat.go.kr
- 농림축산식품부 식품비 통계: mafra.go.kr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연기수령
- 은퇴자 보험료
- 가족 상속세
- 의료비 세액공제
- 연금소득세
- 연금 절세 전략
- 국민연금 과세
- 기초연금
- 은퇴 지출
- 지역가입자 보험료
- 50대 재무
- 무지출 챌린지
- 기초연금 감액
- 건강보험료 경감
- 연금 시뮬레이션
- 절약 루틴
- 임의계속가입
- 50+세대 세금
- 국민연금 세금
- 국민연금
- 연금 수령 전략
- 장기요양보험
- 경제일기쓰기
- 지역가입자
- 퇴직 후 건강보험료
- 경제일기
- 경조사비 관리
- 식비 절감 루틴
- 부모님 병원비 공제
- 국민연금 실수령액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6 | |
7 | 8 | 9 | 10 | 11 | 12 | 13 |
14 | 15 | 16 | 17 | 18 | 19 | 20 |
21 | 22 | 23 | 24 | 25 | 26 | 27 |
28 | 29 | 30 |
글 보관함